잡담

진세노사이드는 스테로이드와 비슷한가?

해랑(Sea-wave) 2025. 2. 9.
반응형

 

진세노사이드는 인삼(Panax ginseng)에 함유된 사포닌 계열 화합물로서, 스테로이드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골격 위에 여러 당(sugar) 분자가 결합된 형태인데, 이 트리테르페노이드 골격이 스테로이드 계열 물질과 비슷한 4고리(四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스테로이드”라고 부르는 물질군은 매우 다양하며, 호르몬(예: 코르티솔, 에스트로겐)처럼 인체에서 생리학적 기능을 조절하는 스테로이드부터, 의학적으로 활용되는 합성 스테로이드까지 폭이 넓습니다. 진세노사이드는 인체 호르몬과 작용 기전이나 대사 경로가 같지 않으므로, 효과나 위험성 면에서 동일하게 취급하기는 어렵습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진세노사이드가 항염증이나 항산화 같은 작용기전을 통해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고했지만, 스테로이드성 약물처럼 강력한 면역조절 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진세노사이드는 구조적으로 스테로이드와 유사한 골격을 가질 수 있으나, 생리적 작용과 활용 면에서는 구분해서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참고 자료

  • Shibata, S. (2001). Chemistry and cancer preventing activities of ginseng saponins and some related triterpenoid compoun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6(Supplement).
  • Christensen, L. P. (2009). Ginsenosides chemistry, biosynthesis, analysi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55, 1-99. Link
  • PubChem. (n.d.). Compound Summary for Ginsenosides. Link

 

“보약에 들어 있는 약초 성분이 체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동일한 효과를 낸다”는 주장은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특정 약초(예: 인삼)의 사포닌 계열 성분이 기본 뼈대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구조이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골격과 어느 정도 유사성을 지닐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동일한 효과”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1. 구조적 유사성 vs. 실제 효과
    • 스테로이드 호르몬(예: 코르티솔, 에스트로겐)은 수용체와 결합한 뒤, 유전자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해 다양한 생리 작용을 즉각적으로 변화시킵니다.
    •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등은 스테로이드와 유사한 고리 구조를 가질 뿐, 세부 결합 부위나 작용 경로가 달라서 동일한 수용체에 똑같은 방식으로 결합하지 않습니다. 체내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더라도 결합 친화도, 활성화 정도, 신호 전달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호르몬만큼 강력하거나 동일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2. 상이한 생리학적 작용 기전
    •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염증 억제, 면역반응 조절, 대사 기능 등 매우 광범위한 기능을 즉각적으로 조절합니다.
    • 약초 사포닌류(진세노사이드 등)는 주로 항산화, 완만한 면역조절, 항염증 효과를 돕는 쪽으로 작용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과도한 면역반응’이나 ‘산화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완화시켜주는 것이지, 인공 스테로이드 제제처럼 강력하게 면역을 억제하거나 호르몬 대사를 직접 조절하는 정도는 아닙니다.
  3. 안전성 및 장기 복용 면에서의 차이
    •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은 효과가 크지만, 장기 복용 시 부작용(부종, 면역력 저하, 골다공증 등)도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사포닌을 함유한 보약 계열은 전통적으로 ‘장기적인 체력 보강’이나 ‘면역 균형 유지’ 관점에서 많이 활용해 왔습니다. 다만 이것이 “완전히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지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일부 보약에 들어 있는 성분이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한 골격을 가질 수 있지만, 임상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낸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구조 유사성”과 “생체 내 작용 메커니즘”은 별개의 문제이므로, 실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수준의 효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Christensen, L. P. (2009). Ginsenosides chemistry, biosynthesis, analysi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55, 1-99. Link
  • Kim, J. H. (2018). Pharmacological and medical applications of Panax ginseng and ginsenosides: a review for use in cardiovascular disease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42(3), 264–269. Link
  • Kang, S. & Min, H. (2012). Ginseng, the ‘Immunity Boost’: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on Immune System.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6(4), 354–368. Lin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