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의식구조2 「한국인의 의식구조, 2001」을 읽고 ②完 한국인들은 서양인들과 다르다. 행복한 상태에 대한 의식이나 감정이 극도로 희미해져 있으며 행복을 꺼리는 습성이 체질화돼 있다.이러한 한국인의 의식 구조는 행복은 위험하다는 사고방식, 행복은 허무하다는 사고방식, 불행은 옹호돼야 한다는 사고방식으로 나누어 생각해보자. 진취적이고 정면적이며 외향적인 서향인은 넓은 외계를 향해 보다 큰 것을 찾아 나선다. 곧 2보다 3이 크고 3보다는 4가 크다는 것을 그들이 개척하는 넓은 시야에서 체험하고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퇴영적이고 배면적이며 내향적인 한국인은 자꾸만 좁아지는 시야에서 3보다 작은 2, 그보다 작은 1 하는 식으로 보다 작은 규모의 물질이나 욕망에 잘 참고 견디게끔 적응이 돼 내려왔다. 한국인 교수가 학생의 신상을 걱정해 주는 것은 상대방의 동심원 .. 📚 Copy & Paste 2024. 11. 23. 한국인의 의식구조 2001 '한국인의 의식구조, 2001'를 읽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큰 언론사에 있던 1933년생 기자가 1980년대에 쓴 책으로 총 4권이 있는데, 내가 이번에 헌책방에서 산 판본은 고등학생용 1권이다. 시대적 흐름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과 차이는 있지만 부모세대나 사회구조의 뿌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일본에 관한 책으로는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1946'이 있다. 쇼와 시대가 배경으로 더 오래됐지만 말이다. 한국인의 의식구조로 '수직구조', '행복을 꺼리는 습성', '감사하다는 말을 하지 않는 것', '형식주의', '시시때때로 동화하고 변화하는 경향' '농경사회의 배타성', '공동체 의식', '중앙집권', '명예욕', '타인지향', '시간감각', '공간', 잘난 사람을 끌어내려 평.. 📚 Copy & Paste 2024. 11. 22. 이전 1 다음